전주는 조선시대에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제주도를 관할하던 전라감영(全羅監營)*이 위치했던 곳이다. 전라감영(全羅監營)이 자리했던 전주의 옛 명칭은 ‘완산(完山)’으로 그 때문에 전주에서 출판된 옛 책을 ‘완판본(完板本)’이라 한다.
전라감영 내에는 한지를 만들던 지소(紙所), 책판을 인쇄하고 책을 만들던 인출방(印出房)이 있었다. 또한 닥나무를 재배하여 각종 한지를 만들었으며 전국 최고의 품질과 최고의 생산량을 가지고 있었다.
전라감영에서는 「동의보감(東醫寶鑑)」을 비롯한 60여 종의 책을 출간하게 되었으며 이때 발달한 한지, 각수(刻手)*, 목수, 인쇄시설 등은 전주 지역의 출판문화 활성화로 이어졌다.
전주는 전라감영의 인쇄문화의 영향으로 사간본(私刊本)*이 250여 종류가 출간되었고, 이어서 방각본(坊刻本)*이 발간되어 조선 후기 가장 왕성한 출판문화를 갖게 되었다. 전주에서는 19세기 초부터 판매용 한글 고전소설을 찍어내기 시작하여 무려 130여 년간 「춘향전」, 「심청전」, 「홍길동전」 등 한글 고전소설 23종을 유통 보급하였다.
* 감영(監營) : 조선시대 때 각 지역의 관찰사(觀察使)가 상주하며 업무를 보던 관청.
* 각수(刻手) : 목판(책판)에 그림이나 글씨를 새기는 장인.
* 사간본(私刊本) : 개인이 간행한 책으로 사가본(私家本)이라고도 함.
* 방각본(坊刻本) : 조선 시대에 판매를 목적으로 민간에서 간행한 서적.
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 https://www.modoo.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NAVER Corp.